# 2022년 1월 14일 2쇄본 정오표 #
* 초판 1쇄와 2쇄를 구입하신 독자분들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# 전자책 ver 1.0 오류 사항
p47. 그림 1-7 출처
https;//www.co1nfluent.io/blog/ ... -> https;//www.confluent.io/blog/
p232. ➊ 1째 줄
MX 익스포터 -> JMX 익스포터
p336. 본문 6째 줄
etc/system/system/~ -> etc/systemd/system/~
# 2021년 10월 29일 1쇄본 정오표 #
p44. 본문 27째 줄
sesstion.timeout.ms -> session.timeout.ms
p78. [참고] 박스 3번째 항목 (이름 오류 수정)
kafka-console-producer.sh -> kafka-console-consumer.sh
p133. 2번째 [출력] 아래 (2)번 항목 설명 수정
➋ ... 두 번째 0은 커밋된 오프셋 번호
-> ... 두 번째 0은 최종 커밋 후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받게 될 오프셋 번호
p135. 2번째 [출력] 아래 (2)와 (3)번 항목 설명 수정
➋ 첫 번째 0은 리더에포크 번호, 두 번째 0은 커밋된 오프셋 번호
-> ... 두 번째 0은 최종 커밋 후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받게 될 오프셋 번호
➌ 첫 번째 1은 리더에포크 번호, 두 번째 1은 커밋된 오프셋 번호
-> ... 두 번째 1은 최종 커밋 후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받게 될 오프셋 번호
p136. 본문 4째 줄~7째 줄
출력 결과를 보면, 리더에포크 번호가 1이었을 때를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에 커밋된 오프셋 번호를 기록합니다➋. 가장 마지막에 커밋된 오프셋 번호는 1이므로, 카프카는 리더에포크 번호 1과 가장 마지막에 커밋된 오프셋 1을 leader-epoch-checkpoint 파일에 기록하게 됩니다➌.
->
출력 결과를 보면, 리더에포크 번호가 1이었을 때를 기준으로 가장 마지막에 커밋된 후 새로 메시지를 받게 될 오프셋 번호를 기록합니다➋. 가장 마지막에 커밋된 오프셋 번호는 0이므로, 카프카는 리더에포크 번호 1과 최종 커밋된 후 새로이 메시지를 전송받도록 준비된 오프셋 번호 1을 leader-epoch-checkpoint 파일에 기록하게 됩니다➌.
p136. 본문 9째 줄~10째 줄
뉴리더는 1번 리더에포크의 최종 커밋된 오프셋 위치가 1이라는 응답을 보냅니다.
->
뉴리더는 1번 리더에포크의 최종 커밋 후 준비된 오프셋 위치가 1이라는 응답을 보냅니다.
p139. 본문 6째 줄
3분이 조금 넘는 시간입니다. -> 30분이 조금 넘는 시간입니다.
p174. 본문 5째 줄
PrepareAboprt -> PrepareAbort
p289. 표 9-1 첫 번째 항목 "키스토어 이름" 옵션
keytool -> keystore
'+ 도서 오류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오표] UX/UI의 10가지 심리학 법칙 (0) | 2022.03.28 |
---|---|
[정오표] 이득우의 게임 수학 (2) | 2022.02.21 |
[정오표] 실전 카프카 개발부터 운영까지 (11) | 2021.11.01 |
[정오표] 엘라스틱 스택 개발부터 운영까지 (0) | 2021.08.24 |
[정오표] 스프링 부트 실전 활용 마스터 (0) | 2021.06.10 |
[정오표] 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(10) | 2021.04.09 |
혹시 ebook 출간 계획은 없나요? 있다면 대략적인 출시 시기는 언제정도 일까요?
답글
<실전 카프카 개발부터 운영까지>는 12월 말이나 1월 초에 출간 예정입니다. 저희 홈페이지나 페이스북 페이지에 바로 업데이트해드릴게요. 기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한참 헷갈렸네요; 오프셋이 왜 저렇게 나오나.. 감사합니다.
답글
안녕하세요. 독자님. 133-136쪽의 오프셋 설명 부분 말씀하시는가 봅니다. 저희가 좀 더 면밀히 검토해서 펴냈어야 했는데 혼동을 드린 점 사과드립니다. 저희 책 열심히 봐주셔서 감사합니다.
1쇄 기준이긴한데 오탈자 제보드려요:
105쪽: 옵션 이름이 fetch.max.wait.ms가 아니라 fetch.wait.max.ms임 (참고: https://github.com/edenhill/librdkafka/issues/916)
336쪽:
1) "그런 다음"이 아니라 "그럼,"으로 보임 (schema-registry.service파일을 수정한 다음에 reload와 start를 실행하므로)
2) 본문에 "/etc/system/system" 으로 나와있는데 "/etc/systemd/system" 인듯함.
답글
저희 책 읽어주시고 내용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.
1. 105쪽의 내용은 저자분께서 다음과 같이 확인해주셨습니다. 답변 확인해주시고 또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.
=> 클라이언트별로 옵션에 따른 표현 방법이 다소 차이가 있는 듯합니다. 책에서는 아파치 공식 문서 가이드에 맞추어 설명하여 fetch.max.wait.ms가 맞습니다.
참고: https://kafka.apache.org/documentation/#consumerconfigs_fetch.max.wait.ms
2. 336쪽
1)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. 말씀하신 사항은 오류는 아니라 정오표에는 등록하지 않았으나, 증쇄시에 수정 반영하겠습니다.
2) 말씀하신 사항은 오타가 맞습니다. 위 정오표에 등록했습니다. (1,2쇄 모두에 해당되는 정오사항입니다.) 감사합니다.
실습에 있어 오류가 발생하는데, 문의 드릴곳이 없습니다. 어디로 연락드리면 될까요?
1. ansible-playbook -i hosts zookeeper.yml , ansible-playbook -i hosts kafka.yml
- 한번에 설치가 안돼고, 스크립터 한번 실행할 때마다 하나씩 설치 됩니다. 원인은 ssh 오류로 yes 명령어를 계속 입력해야 합니다.
2. /kafka-topics.sh --bootstrap-server peter-kafka01.foo.bar:9092 --create --topic peter-overview01 --partitions 1 --replication-factor 3 오류
- error 메시지 : Connection to node -1 (peter-kafka01.foo.bar/172.31.32.144:9092) could not be established. Broker may not be available.
- kafka/config/server.properties 설정 문제인듯합니다. 하루종일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원인을 모르겠습니다. ㅠ
답글
안녕하세요. 독자님.
책 내용 대로 실행하셨다면 큰 오류는 없으셨을 것 같은데요.
저희 저자분께 바로 문의 가능한 깃허브 이슈 페이지가 있으니 이슈를 열어 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https://github.com/onlybooks/kafka2/issues
(해당 페이지는 책에도 안내해뒀습니다.)
감사합니다.
안녕하세요 독자님,
책의 내용대로 실습이 진행되지 않아 답답하셨을 것 같습니다.
ansible의 경우 서버간 ssh 접속을 이용해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데, 독자님과 같이 ssh 접속이 불가할 경우 잘 동작하지 않습니다.
책의 70 ~ 72페이지에서 관련 방법에 대한 설명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.
추가로 책의 66페이지에서 안내하는 /etc/hosts 파일 설정도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추가 문의 있으시면, 아래 페이지에 남겨주세요
https://github.com/onlybooks/kafka2/issues
감사합니다.
232pg, MX 익스포터를 실행하는 명령어 부분입니다. => JMX 익스포터를 ...
답글
말씀하신 부분에 J가 빠진 오탈자가 있었네요. 정오표에 등록하겠습니다.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.